- 사회적 역할
공공도서관은 공공장소나 만남의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만날만한 장소가 없는 지역사회에서 특히 중요하다. 공공도서관은 때로 '지역사회의 사랑방'(drawing room of the community)이라 불린다. 연구, 교육, 그리고 여가를 위한 도서관 이용은 사람들에게 지역사회의 구성원들과 비공식 접촉을 갖게 하며 긍정적인 사회 경험을 제공한다. 도서관 시설은 지역 사회의 관심을 후원하는 사회적 문화적 활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건축되어야 한다.
* 덴마크의 도서관들은, 정보탐색을 위한 전통적인 인터넷 사용이 여전히 주류를 형성하고 있지만,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서의 인터넷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미국 Public Library of Charlotte Mecklenburg 의 '23 things'를 모형화 한 프로젝트는 웹 2.0 소셜네트워킹 분야에 대한 도서관직원 능력 개발의 필요성을 서술하고 있다.
*핀란드의 Entresse Library 는 쇼핑몰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직원이 이용자들만큼 이질적인 다문화 도서관이다. 목표집단은 10대와 이민자들을 포함한다. 사서들은 종종 도달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폰과 랩탑을 가지고 일한다.
* Library10은 핀란드 헬싱키의 중부에 위치한 시립 도서관의 분관인데, 이용자들이 실습을 하거나 녹음을 할 수 있도록 Audeoediting and Rehersal 작업실과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대는 문화 공연, 토론, 그리고 여러 가지 전시를 위한 장소로 사용된다.
- 변화를 주도하는 기관
이러한 역할들을 수행하면서 공공도서관은 사회적 개인적 발전을 위한 기관으로써 존재하며 지역사회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관이 될 수 있다. 교육지원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모든 사람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은 개인과 지역사회에 경제적 사회적 혜택을 가져다줄 수 있다. 그리하여 정보화된 민주사회를 창조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지역사회 구성원의 생애와 그들이 사는 지역사회를 풍요롭게 발전시키도록 활력을 준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제들을 인식하고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정보의 자유
'장서와 서비스는 어떠한 종류의 사상적, 정치적, 종교적 검열이나 상업적 압력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 '
(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
공공도서관은 인간의 모든 경험과 견해를 수렴할 수 있어야 하며 검열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정보 자유법(Freedom of Information Act)이 이러한 권리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서와 관련 행정부서는 이러한 기본적 인권을 수호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이용 가능한 자료를 제한하려는 개인이나 집단의 압력에 저항해야만 한다.
* 덴마크에서는 도서관이 '민주적 온상으로서의 도서관' 프로젝트를 통하여 시민들이 정치적 토론에 참여하고 민주주의에 능동적인 역할을 행사하도록 장려한다. 헤르닝 시에서는 도서관이 지역 저널리스트 및 정치인과 협동하여 인터넷과 물리적 공간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토론 문화를 만든다.
* 오스트레일리아도서관정보협회는 도서관과 정보서비스가 정보와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흐름을 지원하고 유지할 특정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한다.
- 이용자 모두를 위한 접근
공공도서관의 기본 원칙은, 도서관 서비스가 구성원 모두에게 이용 가능해야 하며 지역사회 내의 특정 집단에 국한되거나 다른 집단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어떤 이유로 인해서 일상적인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소수 집단, 이를테면 언어적 소수집단, 신체적 정신적 장애자, 혹은 도서관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의 주민들도 도서관 서비스를 평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예산 수준, 서비스 개발, 도서관 설계, 개관 시간 등 모든 것이 기본원칙으로서의 보편적 접근 개념을 염두에 두고 기획되어야 한다. 장서 개발 또한 모두를 위한 접근 원칙에 근거하여야 하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도서나 녹음 도서와 같이 특수 집단에 적합한 유형을 포함하여야 한다. 도서관 내에서는 물론 원거리에서도 도서관장서와 인터넷 상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기타 정보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이 도입되어야 한다.
- 벽 없는 도서관
공공도서관은 그 역할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하면서 서비스 부문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한다.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그중의 일부는 도서관 건물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서관 외부에서 서비스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상황이 많아질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서비스의 제공은 도서관과 정보 서비스를 가정이나 직장으로 바로 연결하는 환상적인 기회를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운송수단이 산발적인 인구분포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신체적 지각적 장애나 운송수단의 결여로 도서관을 방문할 수 없는 사람들에 대한 도서관과 정보 서비스의 제공은,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주변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가정이나 직장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신시켜 준다.
'공공도서관 > 공공도서관 역할과 토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련 법률과 저작권 문제 (0) | 2022.09.26 |
---|---|
법적 재정적 토대 (0) | 2022.09.26 |
공공도서관의 역할 두번째 (1) | 2022.09.26 |
사명과 목적 (0) | 2022.09.23 |
공공도서관의 역할 (0) | 2022.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