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공도서관/장서관리2

장서관리와 폐기 보존서고 오래되고 이용이 적은 자료를 대중이 직접 접근하지 않는 서가에 유지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것은 현재나 미래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고 어떤 다른 형태로 출시되거나 대체될 수 없는 도서만을 포함하여야 한다. 제한적이긴 하지만 정기적으로 이용되는 특수 주제의 집서나 절판된 소설류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시대에 뒤떨어진 정보를 담고 있거나 보존상태가 좋지 않고 대체될 수 있는 도서는 폐기되어야 하며 보존서고에 유지되어서는 안 된다. 타 도서관과 협동 보존서고를 유지하는 것은 효율적이다. 서고의 관리는 정기적인 계속 업무로 유지되어야 한다. 인터넷이나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광범한 정보 이용가능성은 공공도서관이 대규모의 서고를 유지할 필요를 감소시키고 있다. 상호대차 어떠한 도서관이라도 독자적으로 완전한 .. 2022. 10. 1.
장서구축 '어떤 이유로든 정규 서비스나 자료를 이용할 수 없는 소수민족, 장애인, 또는 입원 환자나 수감자와 같은 이용자에 대하여 특수 서비스와 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장서와 서비스는 전통적인 자료는 물론 모든 종류의 매체와 현대적 기술을 포함하여야 한다. 지역의 요구와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질의 서비스는 가장 기본적 요건이다. 자료는 인류가 이룩해 온 정신적 유산은 물론 최신 경향이나 사회 발전을 반영하여야 한다. 장서와 서비스는 어떠한 종류의 사상적, 정치적, 종교적인 검열이나 상업적 압력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 (IFLA/UNESCO 공공도서관 선언, 1994) 서언 공공도서관은 교육, 정보, 레저 및 개인적 발전을 위한 이용자 요구를 만족.. 2022. 9. 29.